분류 전체보기
-
참고사이트주식 2020. 10. 29. 19:13
https://finviz.comFINVIZ.com - Stock Screener×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finviz.com https://glassnode.com
-
한계대체율ECONOMICS/micro economics 2020. 9. 9. 20:08
Marginal Rate of Substitution. 줄여서 MRS라 부른다. 경제학적 의미: 가로축에 있는 상품 한 단위를 추가로 얻기 위해, 세로축에 있는 상품을 몇 단위나 포기할 의사가 있는지. (같은 수준의 효용을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사실 위의 경제학적 의미는 대체율에 대한 의미도 포함한다. 그러나 우리가 상품 한 단위를 가능한 한 작은 수준으로 설정하면, (x의 변화량을 무한히 0으로 보내면, x로 미분을 하면) 그래프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 혹은 해당 점에 대한 대체율을 구할 수 있고 이는 한계대체율이 되는 것이다. 또한 그래프가 볼록성을 지니면, X의 양이 증가할 수록 한계대체율의 값이 적어진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보편적으로 사람은 많이 가진 재..
-
1. 소비자 이론(Consumer Theory)ECONOMICS/micro economics 2020. 9. 3. 21:02
* 강의 정리용입니다. 소비자이론: 소비자가 어떤 상품 묶음을 소비하는지를 묘사하고 분석하는 이론이다. 소비자는 자신의 선호(preferences)와 예산 제약(budget constraint)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린다. 선호에 대해 크게 세가지로 세분화된다. 1. 선호체계 2. 무차별곡선(indifference curves) 3. 효용 함수(utility function) 우선 선호에 대해 알아보자 선호(Prefernces)는 두 상품 묶음 간의 관계(relation)이다. 이는 수학적 관계를 의미한다. 상품 묶음(commodity bundle)은 벡터를 이용해 표시한다. 예를 들자면 (4,29) 정도가 된다. 현실에서는 수많은 상품 묶음이 존재하고 두 개 이상의 구성이 가능하지만 경제학에서는 분석의 ..
-
용어정리카테고리 없음 2020. 7. 23. 23:33
PER price earning ratio = price / earning주가수익비율 주가를 수익으로 나누어 이 주식이 얼마나 고평가 혹은 저평가 되었는지를 나타낸다. PBR Price to Book RatioROE Return on Equity 신주인수권부사채(BW, Bond with Warrant) 회사채권과 새로운 주식을 인수할 권리가 합쳐져 있는 것. 둘이 분리도 가능하다. 정계로비용으로도 쓰인 전력이 있다. 기존 주주들의 주식가치를 희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전환사채(CB, Convertible Bond) 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회사채권. 전환가격을 미리 정해놓는다. 추후 주가에 따라 전환가격이 변하기도 한다.
-
요약: 김해마루, 『법학 입문』, 율현출판사(2019), (공법 - 헌법, 행정법)Law/공법 2020. 7. 13. 16:05
법 조문체계: 편 - 장 - 절 - 관 - 조 - 항 - 호 - 목 헌법(constitution)--> 통치구조, 기본권(권리, 의무) - 추상적, 포괄적, 탄력적 - 하위 법률에 위임 헌법 - 법률 - 명령 - 조례 - 규칙 법: 민사법, 형사법, 공법 / 사법[사뻡], 공법 법률(act) "~법" / 국회가 제정하여 15일 이내 대통령 공포. 어느 정도 추상성, 위임--> 명령 혹은 조례 명령(decree, = 법규명령) 재정주체에 따라 1. 대통령령(presidendtial decree) 2. 부령으로 나뉜다. "~법 시행규칙" 위임명령(delegation decree)과 집행명령(execution decree, execution decree) - 위임명령(delegation decree): 위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