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
빅데이터를 지배하는 통계의 힘 - 니시우치 히로무책 2023. 1. 8. 21:52
제 2장 정보비용을 대폭 줄여주는 통계 07 의미 있는 오차범위와 비용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반드시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앞에서 언급한 실업률 조사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만약 무작위로 뽑힌 전 인구의 0.5%를조사한 결과 그 100%가 실업자였다고 해도 나머지 99.5% 전원이실업자가 아니라면 전체 실업률은 불과 0.5%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데도 왜 표본조사 결과만 놓고 전체가 실업자라는 결론을 내려야 하는가 하는 점이 흔히 하는 반론'이다. 정말 이런 상황이 생길 수 있는지 없는지 묻는다면 통계학자의대답은 없을 리는 없다'이다. 다만 그렇게 말하고 끝이 아니라 '그런 일이 생길 가능성은 얼마인가'에 대해서도 반드시 대답한다. 실제 실업률이 0.5%이고 ..
-
New trading for a living - Alexander elder책 2022. 6. 18. 09:29
50장 (p.489) 2%규칙 : 1회 트레이딩으로 부담하는 위험이 계좌의 2퍼센트가 넘지 않도록 한다. 예) 40$매수, 38$ 손실제한, 5만 달러 계좌 --> 1회 트레이딩 최대 위험 1,000$. 최대 500주. p.201 한 철 만에 근사한 정원이 생기지는 않는다. 계절이 몇 번 지나야 멋진 정원을 가질 수 있다. p.112 시장에 돈이 있는 이유는 딱 하나, 다른 트레이더들이 시장에 돈을 쏟아붓기 때문이다. 내가 벌려고 하는 돈은 다른 사람의 것이며, 그들은 내게 돈을 내줄 생각이 눈곱만큼도 없다. p.135 가격이 오르내리는 이유는 ... 매수자의 탐욕 혹은 매도자가 느끼는 두려움의 강도가 변하기 때문이다. p.141 기술적 분석가는 대개 컴퓨터로 무장한 응용 사회심리학자다. p.143 개인..
-
자제력 수업 - 피터 홀린스책 2022. 5. 22. 00:00
명확한 10배의 목표 역경이 무조건 존재한다 현실반영 중간 목표, 성과 미루지 않기 Chapter 1 실패의 유혹을 물리치는 힘 - 자제력은 의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 자제력을 강화하면 감정조절도 가능하다. - 실패할 확률에 자신을 집어넣지 마라. Chapter 2 무엇이 당신을 행동하게 만드는가 -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이 돈보다 강력한 이유 - 외적 동기 vs 내적 동기 - 모든 행동은 감정과 이성에 따라 이뤄진다. P.36 이와 같이 자제력을 기르려면 반드시 자신이 원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P.42 성취하고 싶은 것이 무엇이든 간에 반드시 동기 부여의 세 요소를 목표와 잘 어우러지게 해야한다. 만약 이루고자 하는 바가 자율성, 숙달, 목적과 관련이 없다면 목표를 향한 여정..
-
신호와 소음 - 네이트 실버책 2022. 5. 16. 15:12
p.160 정확한 예측을 하는 열쇠는 순전히 계량적이기만 한 정보에 의존하는 게 아니라 모든 유형의 정보를 적절한 맥락 속에서 파악하는 좋은 의사결정 과정을 구축하는 것이다. 될 수 있는 한 자료를 많이 모아라. 어떤 종류든 상관없다. 그런 다음 자료를 분석할 때는 최대한 엄격하고 까다롭게 해라. 빌리 빈 p.190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 카오스 이론은 두 특성 가운데 하나에 해당하는 체계에 적용된다. 1. 체계가 동적이다. 즉 어떤 한 시점에서 발생한 이 체계의 행동이 미래에 이 체계가 하게 될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2. 체계가 비선형적이다. 즉 덧셈이 아니라 기하적으로 증폭되는 관계를 따른다. 카오스 이론은 특정한 유형의 체계들은 매우 복잡해서 예측하기가 무척 어려움을 의미한다. p.386 거꾸로..
-
게놈익스프레스 - Epilogue책 2022. 4. 29. 21:58
유전을 물질에 가두지 말고 과정 그 자체로 보자. 문제의 핵심이다. ... 지금까지 보았듯이 유전자는 특정 위치에 놓여 있어서 손에 잡히는 그런 것이 아니었다. ... 유전자는 생명체 전체에 퍼져 있는 것 같았다. 은유로 세상을 이해하는 인간의 속성이 오류를 낳은 것이다. 은유는 유용하지만 한계가 명백하며, 과학에서는 특히나 치명적인 경우가 많다. 왜? 자연은 인간으로부터 생긴 것이 아니다. 인간은 한낱 하나의 일원이며, 우주 속의 작은 현상이기 때문에. 자연은 우리가 이해하기 편한 대로 놓여있지 않다. 자연은 우리에게 관심이 없다. 관심 있는 쪽은 인간이다.